[경상매일신문=강동진기자] 위크아웃(기업개선작업) 상태인 포스코플랜텍이 청산은 면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플랜텍 채권단은 최근 포스코의 지원 없이도 하반기에 유입될 자금으로 완전자본잠식을 벗어날 수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10일 산업은행, 신한은행 등 채권단에 따르면 산업은행 등 포스코플랜텍 채권단은 다음달 3일까지 실사작업을 마친 뒤 경영정상화 방안에 돌입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산업은행(36%), 외환은행(15%), 신한은행(14%), 우리은행(13%), 경남은행(6%), 하나은행(3%) 등의 채권단 중 대다수가 포스코플랜텍의 청산가치보다 존속가치가 높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의 이 같은 결정 배경은 포스코플랜텍이 헤비테일 방식으로 수주한 플랜트 등의 대금 상당수가 하반기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발주처들의 프로젝트 수주금액이 올 하반기에 받을 돈이 많다는 얘기다. 포스코플랜텍에 따르면 올해 9~12월에 들어올 공사대금은 2천800억 원 가량으로 잠정 집계된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인 2천588억 원을 뛰어넘는 수치다. 대부분은 철강설비공사 완료에 따른 매출이며 일부 기타 설비 매출도 포함됐다. 채권단은 그동안 모기업 포스코의 추가 자금 투입이 없을 경우 워크아웃을 중단하고 포스코플랜텍을 청산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해왔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플랜텍은 올해 상반기 기준 자본총액이 -41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됐다. 올해 상반기에만 2천200억 원 가량의 당기순손실을 낸 결과다. 이는 포스코플랜텍이 전신인 성진지오텍 인수를 둘러싸고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 검찰 수사를 받고, 대출원리금 연체가 연이어 발생하며 정상영업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조청명 포스코 가치경영실장이 지난 6월 포스코플랜텍 사장을 맡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업외비용 역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플랜텍 완전자본잠식에 따라 상장폐지 가능성 역시 대두됐다. 포스코의 추가 자금 지원여부가 불투명해지면 내년 초 상장폐지가 확실시됐었다. 채권단이 10월 중 실사를 끝내고 감자, 출자전환 등의 자구계획을 실행하면 상장폐지를 면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포스코가 자금을 지원할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포스코는 지난해 말 이미 포스코플랜텍 유상증자에 참여해 2천900억 원을 지원한 바 있다. 포스코가 지난 7월 국내 계열사 50%, 해외 계열사 30% 정리 방침을 내놓은 상태에서 추가 자금지원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채권단의 감자ㆍ출자전환 등이 이뤄지면 포스코 지분율 저하에 따라 포스코플랜텍은 포스코 계열사에서 제외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