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반대 민ㆍ관협의회(위원장 윤종호ㆍ시 의원)는 9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열고 “절대 불가”를 표명했다.
협의회는 “구미와 대구 양도시간의 팽팽한 갈등을 빚어온 대구취수원 문제에 대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수없이 고민해 왔으며 대구와 구미의 민관협의회에서도 그간 5차례에 걸쳐 논의를 해왔다. 대구취수원 이전은 1991년 구미 두산 전자 페놀 유출사고와 낙동강의 1천500여 종 미량의 유해물질로 인해 낙동강 강정보의 원수수질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불안감으로 시작, 급기야는 아예 취수원을 구미 공단 상류로 이전해 대구 시민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자는 모 국회의원의 선심성 발언에서 시작됐다”며 “취수원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남유진 시장이 대구시청을 전격 방문, 기자회견을 갖고 대구와 구미간의 지역갈등 해소 및 대구ㆍ경북의 상생 발전과 후손에게 맑은 물 공급이라는 백년지대계를 위한 큰 틀에서 대구ㆍ구미 민ㆍ관협의회 구성과 제로베이스에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문제를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검토를 하자고 제안한 적 있다. 대구시에서도 이에 대해 동의하고 지난 3월부터 5차례에 걸쳐 민ㆍ관협의회를 개최했으나 별 성과가 없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또 예비타당성조사 용역을 빙자해서 언론과 정치권의 지원을 등에 업고 힘의 논리로 밀어붙이겠다는 사고는 용납될 수 없음을 천명하며 “만에 하나 우리의 입장을 도외시하고 무례를 행할 경우 우리시민은 좌시하지 않고 취수원 구미이전 반대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범시민 궐기대회 개최 등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며 “이에 구미 민ㆍ관 협의회는 대구시가 국토부에서 시행한 경북ㆍ대구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용역의 부실을 인정하고 본 용역을 폐기하라. 대구취수원 문제는 4대강 사업 이후 영향 등을 고려한 정부의 낙동강 수계의 수질보전대책과 여러 가지 대안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제출, 조사, 연구, 견학 등의 검토용역을 추진할 것을 다시한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방법이야 말로 대구와 구미간의 지역갈등 해소와 대구ㆍ경북의 상생 발전 및 후손에게 맑은 물 공급이라는 백년지대계를 위한 큰 틀에서 대구취수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며 아무리 바쁘고 시급해도 절차와 과정을 무시하고 정치권개입이나 힘의 논리, 편파방송 등 일방적으로 대구시에서 예비 타당성 조사용역을 억지로 추진한다면 양 도시간에 더욱 큰 감정의 이입만 부추길 것으로 판단된다”고 천명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