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세계를 호령했던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국가들 중 가장 눈에 띄었던 국가는 네덜란드였다. 국토면적이 남한의 반도 못 미치는 소국(小國) 네덜란드는 무슨 힘으로 세계무역의 반을 독점하다시피 하며 해상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을까? 그 힘은 바로 주식회사의 탄생에 있었다.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 포르투갈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상인들을 통합하고 1602년 세계최초로 주식회사 동인도 회사를 설립했다. 정부와 상인 자본가들이 출자했고 현재 증권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권리증서도 배포했다. 동인도 회사를 기반으로 네덜란드는 세계제일의 무역국으로 발돋움하며 17세기 황금시대를 맞이했다. 지금 우리나라는 한류전성시대를 맞고 있다. 지난해 미국 LA에서 개최된 케이콘(K-con) 한류콘서트 컨벤션이 있었다. 놀라웠던 것은 4만 명이 넘는 관객 중 대다수가 미국 현지인이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류는 대규모 투자자본과 전문적인 분업시스템을 갖춘 주식회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SM, YG 등 엔터데이먼트 기업은 재능 있는 예비가수와 배우들을 모아 조직적인 시스템을 통해 세계에서 통할 스타를 길러낸다. 과거에는 끼 있는 개인이 그저 자신의 능력만으로 가수나 연예인이 됐다면 지금은 기업들이 든든한 투자자금을 기반으로 오디션(구매)연습, 공연(생산), 마케팅(유통)의 각 단계별로 전문가들을 동원해 세계적인 스타로 만든다. 네덜란드와 한류시스템처럼 주식회사는 대규모 자본과 분업시스템을 통해 개인이 할 수 없었던 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주식회사가 없었다면 아마도 글로벌시대는 열리지 못했을 것이다. 주식회사는 자본주의가 낳은 위대한 발명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주식회사 설립이 어려운 분야가 있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영세한 수준에 머무른다. 대표적인 사례가 농업이다. 우리농업은 고령의 농부들이 소규모 농지를 운영하는 자영농 중심이다. 반면 선진국의 농업은 글로벌 곡물기업으로 대규모 농업주식회사를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규제에 가로막혀 제대로 된 농업주식회사가 나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의료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의료는 세계최고의 인적자원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런데 왜 세계적인 병원이 나오지 못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주식회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기업형 영리병원을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크다는 아산병원만 봐도 국내 8곳에서만 운영되는 우물 안의 개구리다. 반면 말레이시아의 IHH병원은 3년 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주식거래소에 상장된 주식회사로 10개국에 진출해 36개의 병원을 지닌 아시아 최대병원이다. 우리가 머뭇거릴수록 해외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을 장악할 것은 뻔하다. 다행이 K-con 같이 기업화로 성공한 경험이 있다. 이제 해외 어디를 나가도 라면, 만두, 소주 등 한국음식을 현지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을 만큼 케이푸드(K-food)가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얻고 있다. 농업, 의료 등에서도 주식회사가 나온다면 우리도 다른 나라처럼 농업강국, 의료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형화 전문화 된 기업이 탄생하지 못하면 무한경쟁의 글로벌시장에서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다. 기업화라는 큰 물결을 거스르느냐 마느냐의 선택은 지금 우리 손에 달렸다. 답은 나와 있다. 기업화가 살 길이다. 일자리 창출도 여기에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