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의 전기 공급을 위한 송전철탑과 송전 선로 길이 모두 전국에서 가장 많고, 시도별로는 경북이 경기도에 이어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정수성 국회의원(경주ㆍ국회윤리특별위원장ㆍ사진)이 6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 받은 ‘지역별 송전탑 및 송전선 길이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주시에 소재한 송전 철탑은 총 799개로 전국 230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해남(733개)과 울산 울주군(715개)이 그 뒤를 이었다. 송전선 길이 또한 경주시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는데, 회선 길이는 601km로 전국 지자체 중 1위이고, 이어 울산 울주군(537km), 경남 창원(527km)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북의 송전철탑은 6417개이며, 송전선 길이는 4477km로 경기도의 6632개, 5566km에 이어 두 번째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정부는 지난 6월 4일 ‘송ㆍ변전설비 주변지역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올해부터 송변전시설 주변지역에 대해 지원을 하고 있지만, 세대수를 기준으로 지원을 하다 보니 경주지역이 가장 많이 보유했음에도 적정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가장 많은 경주 지역은 42개 마을에 9억2천만원이 지원되지만, 송전탑과 송전선 길이가 지자체중 10위권에 해당하는 양산 지역의 경우 105개 마을에 128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한전 및 발전사들이 118억원을 출연하여 송전선 주변지역 지원을 위해 ‘희망빛 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을 경남 밀양만으로 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 의원은 “천년고도 경주를 송전탑과 송전선으로 뒤 덮어 놓고, 땅을 파헤쳐 난개발로 인한 훼손으로 가치를 떨어뜨린 것에 대해 적정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고자 우는 아이 떡 주는 심정으로 정부가 정책을 추진해서는 안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충분한 자료 검토를 통하여 주민지원이나 보상이 적정히 이뤄졌는지 이번 국감에서 꼼꼼히 따져보겠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