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는 수출위주다. 미국과 중국의 의존도가 특별히 높다. 잘못하면 이들 나라의 변수에 휩싸여 가계 빚이 국내경제의 발목을 잡는 시한폭탄이 될 수도 있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때이다. 우리경제의 최대 위험이 바로 가계부채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기둔화 등 대외 변수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올 2분기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2분기 가계신용통계를 보면 지난 6월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130조5천억 원으로 한국은행이 가계신용통계를 편제하기 시작한 2002년 이후 최대 규모다. 1년 사이 무려 100조원 가까이 폭증했다. 그동안 가계부채는 저금리와 맞물려 우리경제의 최대 위험요소로 꼽혀왔다. 최근 들어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되고 중국의 증시폭락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가계부채에 대한 경고음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발표한 금융안전 보고서에서 112만 가구의 부채가 부실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위험부채는 143조 원으로 추정했다. 특히 대구경북의 상황은 더욱 심각해 철저한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3월 가계대출 규모는 59조원을 넘어서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율을 보였다. 2분기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61조7천억 원에 달한다. 이중 60% 정도가 지역의 부동산 이상과열에 힘입은 주택담보대출이다. 무제는 대외 경제여건 악화로 거품이 꺼져 주택가격이 폭락할 경우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역경제에 미지는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무건전성 제고, 소득개선 대책과 더불어 근본적인 처방을 고민할 때다. 이와 함께 가계부채의 질을 바꾸는 노력 또한 중요하다. 주택담보 대출의 경우 고정금리나 원 금리 분할상환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