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5일 남북고위급 접촉에서 타결소식과 함께 국정2기를 시작하게 됐다.
특히 이번 합의내용은 공개적으로 밝힌바와 같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담은 합의라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평소 소신인 원칙이 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제 이런 차원을 뛰어넘어 남북은 앞으로 이번에 합의한바와 같이 군사적 긴장해소를 위한 조치뿐 아니라 이상가족 상봉을 진행하고 민간분야 교류를 활성화해 남북관계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남북관계 개선을 토대로 우리의 외교적 공간 확대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9월초에 있을 박 대통령의 중국방문과 10월 중순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한반도 및 동북아 문제를 주도적으로 협의하는 한편 대일관계도 여유를 갖고 원칙 속에서 대응하면서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외교, 안보분야에서 얻은 지지를 토대로 이미 밝힌바 있는 개혁드라이브도 더욱 속도를 내어 추진해야 한다.
이미 지난 5월 공무원연금 개혁을 마무리한 박 대통령은 경제 활성화와 경제 체질개선을 위해 노동개혁을 비롯한 공공, 금융, 교육 등 4대 개혁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가운데 후반기 국정운영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남북간 합의한 후속조치와 함께 다른 국내외 정책과제 실현에도 힘을 쏟아 집권 후반기를 안정적 국정운영으로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이렇듯 원칙과 순리로 이어갈 때 대통령은 성공궤도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소통을 활발히 하는 것이다.
지난 2013년 북한이 개성공단을 일방적으로 흔들었을 때나 철도노조가 불법파업으로 고통스러웠을 때나 최근 북한이 목함지뢰와 포격도발로 위기를 자초했을 때 대통령은 원칙을 지켜왔다.
그런 대통령을 국민이 지지했고 정권은 동력을 얻게 된 것이다. 또한 소통은 지도자의 필수요건이다. 대통령은 국정 중심에 서서 참모들과 내각을 지휘하고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 점에서 박 대통령은 좀 부족했다.
이제 남은 후반기 국정운영 지금만 같길 바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