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 경부고속도로 국책사업과 관련한 경주시 광명동 3통, 4통 주민들의 오랜 지역민원이 26일 국민권익위의 조정으로 완전히 해결됐다.
오래전부터 경주시 광명동 3통, 4통은 하나의 생활권을 형성했는데 1970년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현재 고속도로를 두고 두 마을이 양분됐고 폭 8m의 고속도로 지하통로가 두 마을을 연결하는 유일한 매개체였다.
여기에 한국도로공사에서 경부고속도로 언양∼영천간 확장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당초 성토하기로 한 광명동 3통, 4통 경계구간을 주민들이 교량화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관계기관에서는 기존 지하통로 부분에 19m폭의 교량을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돼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주민들은 지난 4월 국민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26일 국민권익위는 공사현장과 선도동 주민센터에서 주민대표와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조정회의를 거쳐 민원을 완전히 해결했다.
현장에는 국민권익위원회 이성보 위원장, 주민대표 2명, 경북도와 경주시를 비롯한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 5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국민권익위는 먼저 현장을 찾아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들의 민원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교량화 등 개선대책에 대한 보고회를 가진데 이어 선도동 주민센터에서 주민대표와 관계기관 간 합의안에 서명하도록 조정했다.
조정합의안을 보면 ▲한국도로공사는 민원구간 70m를 교량으로 변경시행과 신설예정인 폭 19m 교량은 관계기관의 지방도 904호선 이설계획에 따라 이전설치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방도 904호선 이설계획 조기 확정 및 비용부담, 현 지방도 904호선의 선형 개량ㆍ확장하고 중앙선 폐철도 활용방안 용역 시 중앙선 폐철도 철거 반영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중앙선 복선화 사업이 완료되면 인근 중앙선 폐선조치 ▲교량설치 주민동의서 제출과 고속도로 확장공사 및 교량공사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 등이다.
국민권익위 중재로 광명동 3통, 4통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 해결됨으로써 국책사업 소통행정의 한 면을 보여준 좋은 사례가 됐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