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 5년간 포스코가 소비하고 있는 전력단가가 36% 급등했으며 매년 7% 수준으로 인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포항제철소가 한국전력으로부터 전기를 구입한 비용은 6천200여억 원이었으며 올해는 7천억 원 수준이며 향후 전기요금 상승폭을 감안할 때 2020년에는 수급비용이 1조2천여억 원까지 올라가 포항제철소의 영업이익이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지역상공인들과 사회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섰다. 포항상공회의소는 최근 포항지역 발전협의회, 포항향토청년회 등 지역내 70여개 단체대표와 함께 포항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촉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구사하고 있다.
포항 경제단체와 사회단체들이 투자위를 출범시킨 것은 철강경기 침체의 여파로 지역기업의 구조조정, 고용악화, 생산 감소 등 경기불황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한 때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데 따른 것이다.
이로 인해 포항철강공단의 근로자 수가 감소하고 동국제강과 현대제철의 포항공장 생산라인이 폐쇄되는 등 지역경제가 장기침체와 불황으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출범한 투자위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바 크다.
또한 이들 단체들이 포항시민의 뜻을 모아 정부에 전달하면 규제개혁 차원에서 청정연료 사용예외 기준을 적용받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는 에너지 및 전력수급상의 사유 또는 대기배출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고체연료 사용이 가능하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최근 청정 환경설비를 도입해 포항제철소 대기배출 총량을 현재보다 더 감소시킨다는 계획을 이미 세워뒀다.
포항상의를 주축으로 결성된 투자촉진위원회가 주목받는 이유는 일회성 모임이 아니라 조만간 운영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그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결의에 차 있기 때문이다.
지역민들은 포스코 뿐만 아니라 포항지역 다른 기업의 활동에도 발목을 잡는 규제완화에 공동의 힘을 모아 지역내 투자를 촉진시키기로 한 것에 대해 찬사를 보내고 있다.
이로 인해 포항지역 경제는 시민 스스로의 힘으로 재도약의 발판을 다지고 있어 기대하는 바가 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