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확대의장단 회의서 대책 없는 행정 질타
‘신바람 페스티벌’ 교통대란ㆍ시내버스 임금협상
[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대구시의회는 24일 의장 접견실에서 상임위원장 이상이 참석하는 확대의장단(9명) 회의를 열어 수성못 ‘대구 신바람 페스티벌’ 교통대란과 시내버스 임금협상 타결 경과 등 최근 불거진 대구시 현안을 긴급 점검하고 집행부에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대구시의회 요구로 개최된 이날 회의에서 행정부시장은 보고에 앞서 먼저 광복 70주년 기념행사로 열린 ‘대구 신바람 페스티벌’의 교통대란을 초래한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시민들과 의회에 사과발언을 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축제가 정부차원에서 이뤄진 행사라 하더라도 교통대책 수립이 미흡했던 점은 인정한다”면서 “앞으로 행정기관 및 민간의 모든 행사에 대해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안전ㆍ교통 대응방안 매뉴얼화, 대규모 후원 행사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지원단 구성ㆍ운영, 행사장 혼잡에 따른 홍보 및 주차대책 강구 등 철저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보고했다.
또 지난 21일 파업을 앞두고 극적으로 타결된 시내버스 임금협상 타결 결과와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지속적으로 단체교섭을 가졌으나 노조측과 임금인상 및 운수종사자 임금체계 개편에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25일로 예고됐던 총파업을 앞두고 임금을 시급기준 3.7%(총액기준 3.59%) 인상하는 극적인 협의에 이르게 됐다”고 말하고 “준공영제 재정지원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운전자들의 임금체계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준공영제 개혁이 어렵다고 판단해 파업참가자에 대한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해 이번 단체교섭에 강경하게 대응한 것이 주효했다. 향후에도 이러한 원칙에 입각해 준공영제 개혁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보고했다.
대구시의 보고를 들은 의원들은 “이번 광복절 기념 축제가 갑자기 마련된 것은 이해가 되지만 현장을 지켜본 사람이라면 당초 주최 측 홍보와는 달리 막대한 예산이 어디에 쓰였는지 의문이 들 정도였다. 무대책으로 일관한 대구시의 무능행정을 탓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시내버스 파업과 관련해서도 “막대한 추가 재정지원과 시민불편이 예견됐던 만큼 노사간 합의를 이끌어낸 것은 다행한 일”이라면서 “앞으로도 준공영제 개혁 목표가 무난히 달성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