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 기자]
새누리당은 20일 총선 후보 선출 방식과 관련, 당론으로 채택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경우 상향식 공천 취지를 살리기 위한 대안을 잠정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당은 여야가 전 지역에서 동시에 유권자들이 투표에 참여토록 해 각 당의 총선 후보자를 결정하는 ‘국민경선제’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야당이 난색을 표하고 있어 추진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반대할 경우 단독으로라도 실시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새롭게 검토중인 대안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후보자를 결정하는 대신에 공직 후보자 결정과정에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100%까지 늘려 유권자의 뜻을 물어 상향식으로 후보를 공천하겠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이를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후보를 결정하는 ‘한국식 국민공천제’라고 명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의도연구원은 이달 초 최고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천제도 개선안을 여러차례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여론조사로 후보자를 결정하되 여론조사 대상을 기존의 1천명 수준에서 3천∼5천명으로 대폭 늘려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여론조사 경선을 실시하면 여성과 신인 정치인이 불리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들에게 득표의 5%를 가산점으로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신인 정치인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또 당비를 내는 책임 당원의 역할이 유명무실해진다는 지적에 따라 여론조사는 일반 국민과 당원을 상대로 따로 실시한 후 합산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앞서 새누리당은 4개 지역에서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지난 4ㆍ29 재ㆍ보궐선거 때 이 같은 방식으로 후보자를 공천하여 3곳에서 후보를 당선시켰다.
종전 ‘밀실 공천’ 비판을 받았던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여론조사 방식 결정이나 병역 회피, 탈세, 논문 표절, 투기 의혹과 같이 결격 사유를 걸러내는 역할에 한정하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이러한 한국식 국민공천제 방식을 통해 ▲경선 비용 절감 ▲공정성 확보 ▲계파와 세력의 사천(私薦) 방지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여론조사로 공직후보자를 결정할 경우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에 대한 평가보다 ‘인기투표’에 그칠 수 있고, 기성정치인이나 토호세력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