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 기자]재난현장의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 소방헬기가 하나로 뭉친다.
16일 경북도에 따르면 국민안전처, 서울시, 부산시, 제주특별자치도를 비롯한 16개 광역시도와 ‘전국 소방헬기 긴급대응체계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14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가와 지방으로 이원화된 소방조직 구성에 따라 중앙과 각 지자체별로 관리하는 소방헬기라도 재난발생시 시ㆍ도간의 경계를 넘어 대형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 운용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헬기는 산악이나 도심 등 재난발생 장소 및 교통상황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현장에 접근해 긴급구조 등의 대응활동을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인 만큼 이번 협약으로 대응체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국민안전처 중앙 119구조본부와 각 시ㆍ도 소방항공대에서 운용 중인 전국 소방헬기 27대에 이른다.
경북도와 국민안전처 등은 재난발생 시 중앙과 지자체의 소방헬기를 활용한 신속한 현장대응과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상호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함께 했다.
이번 협약은 소방헬기 긴급출동체계 강화 및 출동공백 방지, 안전관리 강화 등에 대해 중앙과 지자체 각각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경북도와 16개 시ㆍ도 간 공조체계를 긴밀히해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협약에 따라 국민안전처는 소방헬기 관제시스템을 구축해 시ㆍ도의 헬기 공동 활용과 재난의 규모와 특수성을 반영해 항공대응 활동을 지원ㆍ조정한다.
시ㆍ도는 재난지역 관할 공중영역 내에 지원 출동한 소방헬기의 지휘 및 통제를 하고 전국 소방헬기 운항, 헬기 공백지역에 대한 출동 시 소요시간 및 헬기 기능별 특성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고 공유해 헬기출동 공백 방지에 협력한다.
이와 함께 국민안전처는 헬기 안전운항 기준과 절차에 대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조종사 비행기량 평가제도를 도입하며 시ㆍ도는 관제시스템을 활용한 출동관리 및 항공승무원 교육ㆍ훈련 확대 등을 통한 안전관리 강화에 적극 협력키로 했다.
아울러 국민안전처는 시ㆍ도의 소방헬기의 교체 및 보강사업 지원에 시ㆍ도는 항공대원 3교대 인력 보강에 노력키로 했다.
한편 소방헬기는 1996년 이후 현재까지 총 6건의 추락사고 발생해 15명이 목숨을 잃고 15명이 부상을 당하는 피해를 낳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