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광복 70주년 독도수호 정책토론회
“道, 일본 주장 타파할 수 있는 논리 개발해야”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의회는 11일 엑스코 국제회의실에서 독도 영토주권을 공고화하기 위해 ‘광복 70주년 기념 독도수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경북도의정포럼과 영남대독도연구소 공동주관으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도의원, 전문가, 도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남진복 경북도의회 의원은 “오는 14일 아베 신조 일본총리의 전후70년 담화(아베담화)가 식민지배와 침략사실에 대한 사죄를 언급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면서 앞으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침탈야욕이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번 토론회는 독도의 관할 지방자치단체 의회인 경북도의회가 독도 영토주권 수호 의지와 영유권 공고화를 위해 마련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는 동국대 한철호 교수를 좌장으로 남진복 경북도의원을 비롯해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곽진오 연구위원, 영남대 독도연구소 송휘영 교수, 계명대 이성환 교수, 대구대 최철영 교수, 경북대 박재홍 교수 등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독도의 영토주권을 위한 경상북도의 역할과 대응방향’이란 주제로 일본의 독도영유권 3대 왜곡주장을 지적하고 그것이 모두 허위임을 증명하는 반박자료를 조목조목 발표했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우선 ‘일본이 17세기 중반에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시켰다’는 주장에 대해 17세기말에 일본이 독도를 한국영토로 인정한 일본측 공문서가 이미 3가지나 존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토론자들은 일본의 독도침탈 야욕을 분쇄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독도를 관할하는 경북도가 독도연구의 중심지라는 자부심을 갖고 일본의 억지주장을 타파할 수 있는 논리와 정책을 개발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장대진 경북도의회의장은 “올해는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기념비적인 해 임에도 최근 일본 아베 정권의 우경화와 독도 도발이 그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면서 “이번 정책토론회가 독도의 영토주권을 위한 경북도의 역할과 전략적 대응방향을 모색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됐다”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