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 동북아역사재단은 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독도학술대회를 열고 한국이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는데 결정적인 공을 민간단체인 한국산악회가 세웠다는 내용을 발표한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김호동 영남대 교수, 박현진 국제해양법학회 이사, 정범준 이화여대 교수,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한국산악회는 1947년 8월 16일 과도정부 독도조사단과 함께 울릉도ㆍ독도를 조사했다. 이 조사 활동은 대외적으로는 민간단체의 학술 조사로 비춰졌지만, 실질적으로는 과도정부와 긴밀한 조율 아래 이뤄지고 있었다는 것이 학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당시 한국산악회의 활동은 식민시기와 해방 후까지도 자행된 일본의 불법 행위를 사실상 처음으로 공식 조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실제로 1948년 일본의 간계에 속은 미군의 독도폭격 사건과 1952년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이 터졌을 때 한국 정부가 적극 대처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현장 조사 자료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 한국산악회 조사에는 송석하 조사대 대장, 방언학 대가였던 방종현 서울대 교수 등이 참여했는데, 이들은 이후 독도 연구의 초석을 놓았다.
한국산악회는 특히 1953년 10월 울릉도ㆍ독도학술조사단을 구성하고 해군 함정 편으로 독도에 들어가 일본이 독도를 자국 영토라고 표시한 말뚝을 뽑아내고 한국 영토임을 증명하는 표석을 설치하기도 했다.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홍성근 소장은 “당시 국내 정세가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민간단체에서 독도에 관심을 갖고 영토 보존 활동을 시작한 공에 대해 늦었지만 이제라도 반드시 재평가 받아야한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