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강동진기자] 올해 들어 국내 10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무려 40조 원이나 감소했다.
2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국내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은 지난 23일 현재 67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1월 2일(719조6천억 원)보다 5.57%(40조700억 원) 감소한 것이다.
10대 그룹의 증시 비중은 같은 기간 53.52%에서 45.22%로 7개월 새 8.3%포인트나 낮아졌다.
따라서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가 국내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밑으로 떨어졌다.
그룹별로 보면 현대차그룹이 감소액 1등, POSCO그룹이 감소율 1등의 불명예를 차지했다.
올 들어 현대차그룹의 시가총액은 120조9천억 원에서 98조8천억 원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이 기간 현대차그룹 시가총액은 18.26%(22조700억 원) 급감했다. 감소액으로는 10대 그룹 중 가장 많다. 현대차그룹 상장사의 증시 비중은 8.99%에서 6.56%로 떨어졌다.
삼성그룹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은 같은 기간 21조9천억 원(6.26%) 줄어든 327조7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초 25.99%에 이르던 삼성그룹의 증시 비중은 현재 21.79%로 낮아졌다.
POSCO그룹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21조4천억 원으로 연초보다 8조8천900억 원 (29.40%)이 날아갔으며 포스코그룹의 증시 비중은 1.43%에 불과하다.
현대중공업 그룹 상장 계열사는 시가총액이 8천400억 원(8.00%) 줄어든 9조7천억 원으로,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64%에 그쳤다.
SK그룹은 시가총액이 90조 원으로 연초보다 7천500억 원(0.83%) 줄었고 증시 비중도 6.75%에서 6.00%로 소폭 낮아졌다.
반면 한화그룹 상장 계열사는 시가총액이 연초보다 4조8천400억 원(35.78%) 늘어난 18조4천억 원으로, 증시에서 1% 넘는 비중을 차지했다.
롯데그룹 4조6천600억 원(22.28%), GS그룹 3조3천800억 원(36.61%), LG그룹 1조4천400억 원(2.14%), 한진그룹 700억 원(1.065) 등의 시가총액도 증가했다.
이 같은 현상은 올 들어 대형주 부진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상위 20위 내 대형 상장주 중 13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이 감소했다.
최근 경영쇄신안을 내놓고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포스코의 주식은 지난 24일 장 마감에서 19만 원대로 떨어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