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산업재해율이 높았거나 사망사고가 잦았던 전국 294개 사업장을 공개, 경북지역의 경우 S건설(주) 건설공사장, S여객㈜, 문경 S영농조합법인, 그밖에 영주, 고령, 구미지역에 소재한 14개 사업장이, 그리고 대구지역은 C철강㈜ 대구공장, S염직, W염직, S건설 공동주택 신축공사장 등 12개 사업장이 이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한 전국의 사업장 가운데 E토건(재해율 10.00%), Y기업 영동공장(9.16%), 풍생(6.67%)등은 재해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경북지역 산재다발사업장(14곳) 가운데 G시를 비롯 M시, K군 등 3곳의 행정기관이 포함돼 관심을 모았다. 2011년부터 3년간 산재가 발생했는데도 보고 의무를 2회 이상 위반한 현대제철 당진공장(20건 발생)을 비롯한 21곳이 산재발생 보고의무를 위반업체로 지적됐다. 사망사고가 잦았던 사업장으로는 2013년 7월 수몰사고로 7명이 사망한 동아지질(중흥건설 올림픽대로 상수도관 이중화 부설공사 하청업체), 2013년 3월 폭발사고로 6명이 숨진 유한기술(대림산업 여수공장 하청업체), 2013년 5월 가스 질식사고로 5명이 사망한 한국내화 당진공장(현대제철당진공장 하청업체) 등 15곳이 올랐으며 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 중대 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은 유한기술(대림산업 하청업체), 삼성정밀화학 등 4곳이나 됐다. 노동부는 “이번공표된 사망재해 발생 사업장 대부분을 감독대상으로 선정, 그동안 수시 또는 특별감독을 해왔다”고 밝히고 있으나 특별감독의 실효성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노동부는 지난 2004년부터 산업재해 발생에 대한 경각심과 재해예방의 중요성을 높이고 산재예방을 위한 기업의 투자를 유도하려고 산업재해와 사망사고가 많은 사업장을 공개하고 있다. 대형 안전사고의 발생 등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 되고 있으며, 제조업을 중심으로 사업장 안전에 대한 대책수립에 기업체들이 고심하고 있다. 이에 사업장에서의 근로자 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와 사업시행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기업 경영진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다변화하는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에 따른 작업장에서의 시스템은 첨단화 돼 가고 있으나, 제조업에서의 작업환경과 작업시간에 따른 근로 강도는 근로자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예방 대책 수립은 안전 메뉴얼과 시스템 도입측면에 집중 되고 있는 상황으로 작업장에서의 안전은 시스템의 미비나 오류로 인한 발생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인재로 인한 재해발생 가능성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산업현장에서의 독성물질의 처리과정과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한 직업병 수준의 근로자 건강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매년 노사주도 건강증진활동 사업추진을 위한 근로자 100인 이상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업 참여 의지를 방문 조사해보면, 일부 기업에서는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지원을 기업의 안전과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의 긍정적 요소로 보기 보다는 근로자 개인의 문제로 생각, 근로시간 단축이란 측면으로 바라보는 경향도 우려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