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안전은 행정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이다. 이 같은 것에 빈틈이 발생한다면 행정이 곧바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마땅하다. 안전도시가 시민들의 행복까지 담보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 지역의 행정이 도시의 위험을 그대로 방치로 일관한다면 그 지역민들은 일상생활까지도 위험에 노출된다. 더구나 절벽이 무너진다면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만다. 이를 다시 말한다면 행정의 지진(地震)이다. 현재 포항시의 안전행정이 이 지경으로 가고 있어 이 인근 주민들의 일상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이 같다면 도시 안전정책의 실종이다. 지난 11월 중순께 흥해읍 죽천리길 절벽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주민들이 대피하는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포항시는 붕괴지역에 통제라인을 설치하고 절벽보수 공사 중이다. 하지만 붕괴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붕괴위험이 남아있는 지역에는 죽천리 부녀회관, 노인정 등 다수의 건물은 다중집회 장소이다. 이들 건물들은 붕괴여파가 우려되는 절벽아래 무방비로 방치되어 있다. 현재 붕괴위험 절벽 상단부에는 수평으로 큰 금이 간 상태이다. 또 절벽 곳곳에 금이 간 흔적들이 발견됐다. 빗물이 스며들어 침식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민들이 시멘트로 곳곳에 땜질공사를 한 흔적이 발견됐다. 곳곳에 금이 가고 빗물이 침식한다면 포항시의 도시행정이 나서야 한다. 그럼에도 주민들이 시멘트로 땜질공사를 했다면 포항시의 안전도시 만들기의 실종이다. 주민들이 직접으로 나선 이유가 포항시의 도시행정의 늑장대처에 원인한다고 질책해야 할 대목이다.
그럼에도 새롭게 절벽에 금이 가고 있어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붕괴여파로 다른 곳에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진단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한다. 금이 현재진행형으로 가고 있는 판에 도대체 또 무엇을 다시 진단한다는 말인가. 그럼 아직까지 이곳을 진단조차 하지 않았다는 말인가. 포항시에 만약 안전사고라도 터진다면 그때는 어떻게 할 참인가. 과거형의 진단만이 결코 능사가 아니다. 문제는 진단이 아닌, 현재 붕괴 위험이다. 지금도 늦었다. 지체 없이 포항시가 나서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