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올 하반기 기획재정부, 환경부, 국세청, 제주도, 금융감독원 등 20여곳을 대상으로 기관운영감사를 실시키로 했다.
감사원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그간 사회ㆍ경제적 현안문제에 대한 원인 및 책임규명, 개선대안을 마련하는 ‘특정감사’에 치중하다보니 기관업무 전체를 조감하고 취약분야를 발굴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는데 일정 부분 한계가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감사원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기관운영감사는 62건, 31건, 31건, 31건, 5건으로 꾸준히 감소한 반면, 특정감사는 107건, 106건, 105건, 88건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 122건으로 급등세를 보였다.
이에 감사원은 “앞으로 기관업무 전반을 살펴보는 ‘기관운영감사’를 확대ㆍ내실화하여 기관의 기본임무인 조직, 인사, 예산, 회계, 주기능 수행 등의 적정성을 충실히 점검할 계획”이라며 “대규모 예산 낭비, 비효율 발생, 안전 등 중요 분야에 대한 관리 부실 등 취약분야가 발굴되면 심층 분석이 가능한 특정ㆍ성과감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관운영 감사규모를 연초대비 10곳이 증가한 총 20여개로 확대하는 한편 개선이 시급한 분야는 감사중점을 1~2개로 한정하고, 감사인력도 4~5명 규모의 팀 단위로 편성하는 등 탄력적 운영이 가능한 소규모 특정감사를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탄력적인 감사운용을 통해) 감사사각을 최소화하고, 쉽게 드러나지 않는 공공부문의 적폐 등을 탐지ㆍ개선하여 감사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