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위원장 외부인사 영입 파문으로 불거진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이 최고조에 이르는 형국이다.
당의 수장인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당내 사퇴 요구에 못이겨 당직 사퇴는 물론 탈당까지 검토하면서다.
당이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는 가운데 박 위원장은 15일에도 두문불출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국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으며 소재 파악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원내 핵심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만나 “박 위원장의 전화기가 꺼져있어 연락이 닿고 있지 않다”며 “현재 어디에 있는지도 파악되고 있는 것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위원장의 핵심 측근들도 휴대폰을 꺼놓거나 연락을 받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의 거취 문제가 당내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자 측근들과 향후 대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일단 박 위원장은 당장 탈당을 하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박 위원장은 전날 탈당의사를 내비치면서 “지금 탈당하면 당이 공중에 떠버리는 것이니 책임을 다 하려고 한다”며 다음 지도부가 구성된 이후 떠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고 한다.
박 위원장이 탈당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지면서 당 내부도 술렁이고 있다. 당 소속 의원들은 반응은 엇갈리는 모양새다. 일단 당 소속 의원들은 계파별, 그룹별로 긴급 대책논의에 들어갔다.
문희상ㆍ박병석ㆍ정세균ㆍ추미애 등 당의 중진들은 이날 오전 1시간30분 가량 회동을 갖고 혼란상에 빠진 당을 수습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집중했다.
박병석 의원은 회동 뒤 취재진과 만나 “빠른 시일 내에 의원총회를 열어서 현안의 모든 문제를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며 의총 소집을 요구했다.
추미애 의원도 “지금 당의 정치적 모양새가 정치 집단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 아니냐”며 “일단 의총이 유일한 소통기구인 만큼 의총을 열어서 박 위원장의 의도부터 현안문제까지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날 노영민ㆍ오영식ㆍ최규성ㆍ최재성ㆍ유승희 의원 등 긴급 회의를 갖고 박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선 15명의 의원들도 이날 논의를 진행했다.
이들은 박 위원장의 탈당설과 관련해서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면서도 자진사퇴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유승희 의원은 “박 위원장에 대한 사퇴요구는 이미 중진 의원부터 시작해 초선까지 지속해왔다”며 “지금까지 모임을 통해 합의한 내용에 대해서는 유효하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