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이 9일째를 맞으며 전전 곳곳에서 환자들이 아우성이다. 암 수술이 연기되고, 응급실이 마비되는 등 의료 공백이 심각한 상태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5일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정책 강행 시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지난 24일 정부와 의사단체 사이에서 중재를 자청하고 나섰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전공의들의 스승인 의대 교수들은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을 봉합하고 대화의 물꼬를 틀 적임자인 만큼 제대로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필수 불가결한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의료정책이 결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정부와 의료계의 주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중재가 만만치 않을 수 있다. 정부는 2035년 부족한 의사 1만5000명을 채우려면 올해부터 최소 2000명씩 더 뽑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의대 학장들은 "늘려도 350명 정도가 한계"라고 주장하며 파격 증원이 의대 교육의 질 저하를 부를 것이라고 우려한다. 교수 출신인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반박에 나섰다. 그는 `2000명 증원`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17개 의대가 정원 50인 미만의 소규모여서 원활한 교육을 위해서라도 정원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필수의료에 대한 수가 인상과 소송 부담 완화를 놓고도 정부와 의료계 간 간극이 크다. 정부는 `필수의료 10조원 투입` 방안 등을 발표했다고 주장하지만 의료계는 구체적인 인상률이 빠진 계획을 믿기 어렵다고 한다. 정부가 `면허정지` `구속수사` 등을 언급하며 강경 대응으로 맞서자 의사들의 반발은 더 커지는 모양새다. 각자 주장을 반복하고 `강대강`으로 대치하는 것은 소모적일 뿐이다. 그 결과는 환자인 국민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입고 있다. 의대 교수들은 의료계가 바라는 갈등 해법을 정부에 전달해 타협점을 찾아야 할 뿐 아니라 전공의들을 설득해 의료 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되 전공의들에게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 구체적인 수가 인상 수치를 제시하고, 의료사고 시 민형사상 법적 책임 완화 방안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꽉 막힌 안갯속에서 의대교수들이 그 퇴로를 열어주기 바란다.